혹시 이런 적 있으시죠? 공항에서 보조배터리 때문에 당황한 경험
여행 가기 전, 짐을 챙기다 보면 꼭 빠뜨리지 않는 게 바로 ‘보조배터리’죠.
특히 장시간 비행이나 경유가 있을 경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사용이 많아져서 보조배터리는 필수템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혹시 보조배터리를 캐리어에 넣어두셨다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공항에서 뜯어보라는 소리 듣고 당황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비행기에서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은 생각보다 까다롭고 항공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국내선부터 국제선까지, 안전하고 똑똑하게 보조배터리를 챙기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 목차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기준은 무엇인가요? 🔋



보조배터리를 비행기에 가지고 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기준이 있어요. 단순히 '들고 탈 수 있다'는 것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용량, 개수, 포장 상태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기준에 따라, 대부분의 항공사는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자유롭게 반입 가능하게 하고 있어요. 하지만, 100Wh 초과 160Wh 이하의 제품은 항공사 허가가 필요하고, 160Wh 초과 제품은 아예 반입 금지랍니다.
이 기준은 Wh(와트시) 단위로 표시되는데, 대부분의 보조배터리는 mAh(밀리암페어시)로 되어 있죠. 계산법은 아주 간단해요. Wh = (mAh × V) ÷ 1000 공식에 따라 자신의 보조배터리가 기준에 맞는지 체크해보세요!
예를 들어, 10,000mAh짜리 보조배터리(3.7V)의 경우, 10,000 × 3.7 ÷ 1000 = 37Wh로, 아무 문제 없이 기내반입이 가능합니다.
단,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어 반드시 기내에 직접 들고 타야 하며, 위탁 수하물에 넣으면 안 됩니다.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비교 🏷
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이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해외 항공사나 저가항공의 경우, 보조배터리 기준이 더 엄격할 수 있어요.
아래 표를 통해 국내외 주요 항공사의 기준을 한눈에 비교해보세요.
항공사 | 100Wh 이하 | 100~160Wh | 160Wh 초과 | 비고 |
---|---|---|---|---|
대한항공 | 반입 가능 | 승인 필요 | 반입 불가 | 2개까지 제한 |
아시아나항공 | 반입 가능 | 승인 필요 | 반입 불가 | 정상 포장 필수 |
제주항공 | 반입 가능 | 승인 필요 | 반입 불가 | 총 20,000mAh 이하 권장 |
에어부산 | 반입 가능 | 승인 필요 | 반입 불가 | 비닐 포장 권장 |
에미레이트항공 | 반입 가능 | 승인 필요 | 반입 불가 | 2개 이하 권장 |
각 항공사 웹사이트를 통해 출발 전 반드시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미국, 일본, 유럽 항공사는 개별 승인 절차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각 항공사 기준이 궁금하다면 ▼
기내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 용량은? ⚖️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이 바로 이거예요. “내 보조배터리, 용량이 몇이면 괜찮을까?”라는 질문이죠.
규정상으로는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기내반입이 자유롭고, 100Wh 초과 160Wh 이하의 경우엔 항공사 허가를 받아야 하며, 160Wh 초과 시에는 무조건 반입이 금지됩니다.
보조배터리 제조사에서 보통 mAh(밀리암페어시) 단위로 표기하므로, 아래 계산법을 참고하세요.
표기 단위 | 계산식 | 예시 | Wh 결과 | 기내반입 가능 여부 |
---|---|---|---|---|
10,000mAh / 3.7V | 10,000 × 3.7 ÷ 1000 | 기본 보조배터리 | 37Wh | 가능 |
20,000mAh / 3.7V | 20,000 × 3.7 ÷ 1000 | 대용량 보조배터리 | 74Wh | 가능 |
30,000mAh / 3.7V | 30,000 × 3.7 ÷ 1000 | 초대용량 보조배터리 | 111Wh | 허가 필요 |
45,000mAh / 3.7V | 45,000 × 3.7 ÷ 1000 | 대형 모델용 | 166.5Wh | 불가 |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10,000~20,000mAh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문제가 없지만, 30,000mAh 이상 제품은 반드시 Wh 계산 후 확인해야 해요.
제조사에 Wh가 표기되어 있지 않다면, 고객센터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보조배터리, 수하물로 보내면 안 되는 이유 🚫



“보조배터리는 왜 캐리어에 넣으면 안 되나요?” 이 질문, 정말 많이 받아요.
이유는 간단해요. 리튬이온 배터리는 충격, 압력, 고온 등에 민감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수하물칸은 기압 조절이 되긴 하지만, 탑승객이 직접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없는 구역이에요. 그래서 혹시라도 이상 발열이나 연기가 발생했을 때 대처가 어려워요.
실제로도 몇몇 항공편에서는 수하물에 들어간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나거나 화재가 발생해 이륙이 지연되거나 회항한 사례도 있답니다.
항공사에서는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에 직접 들고 타도록 규정하고 있어요.
참고로, 스마트 캐리어(배터리 내장형 캐리어) 역시 배터리 분리가 가능해야 반입이 가능합니다.
안전하게 보조배터리 사용하는 팁 💡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 여행 스킬이에요! 단순히 반입 가능한 용량만 확인하고 끝낼 게 아니라, 실제 사용 시 주의할 점도 알고 계셔야 해요.
- 포장은 깔끔하게!
보조배터리는 항상 단독으로 보관하고, 금속 재질(동전, 열쇠 등)과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짧은 회로가 발생할 수 있어요. - 보조배터리 파우치 사용
충격을 줄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해서, 전용 파우치나 파우치형 케이스에 넣는 걸 추천해요. - 기내 충전은 잠깐만
기내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때 보조배터리를 오래 연결해두는 것은 배터리에 무리를 줄 수 있어요.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게 좋아요. - 배터리 상태 수시 확인
이상 발열이나 부풀어 오름, 액체 누출이 감지된다면 즉시 승무원에게 알려주세요! - 기내 사용 시 주의
자리에서 충전 후 다른 승객 좌석이나 복도에 걸쳐 두지 말고, 본인 좌석 아래 또는 테이블 위에 안정적으로 두는 것이 좋아요.
특히 장거리 비행 시에는 여분의 보조배터리를 준비하되, 규정 용량 내에서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여행 시 주의할 점은? 🌍


나라별로 기내 보조배터리 규정이 다를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한국에서는 비교적 유연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 일본, 미국, 유럽은 꽤 까다로운 편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Wh 표기가 없으면 무조건 반입 불가인 경우도 있어요. 또 일부 공항에서는 검사 시 봉인 씰이나 인증 마크까지 확인하기도 하죠.
해외에서 출발하는 비행기를 탈 경우, 다음 사항을 체크해보세요.
- 제품에 Wh 표기 있는지 확인
- 보조배터리 제조사 인증 확인 (KC, CE, FCC 등)
- 현지 항공사 규정 미리 검색
- 중국이나 인도는 보조배터리 개수 제한 있음
- 미국은 보조배터리 분실 시 공항 폐기될 수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보조배터리는 캐리어에 넣어도 되나요?
안 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어 반드시 기내에 들고 타야 해요. 위탁 수하물로는 반입이 금지돼 있습니다.
20,000mAh 보조배터리도 괜찮을까요?
네, 20,000mAh는 약 74Wh로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문제없이 기내반입 가능한 용량입니다.
보조배터리는 몇 개까지 가져갈 수 있나요?
항공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개 이하를 권장하고 있어요. 일부 항공사는 최대 4개까지 허용하기도 합니다.
Wh 표시가 없는 보조배터리는 어떻게 하나요?
제조사에 문의하거나 mAh × 전압 ÷ 1000으로 직접 계산 후 확인하세요. 중국처럼 Wh 미표기 제품을 반입 금지하는 나라도 있어요.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비행기에 타도 되나요?
기내에서 충전은 가능하지만, 너무 오랜 시간 연결해 두지 않는 것이 좋고, 좌석 아래나 테이블 위에 안전하게 놓는 것이 중요해요.
스마트 캐리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내장형 배터리는 반드시 분리 가능한 구조여야 반입 가능합니다. 배터리를 분리할 수 없으면 기내 반입도 제한될 수 있어요.